본문 바로가기
• 건강

비타민 D가 함유된 식품

by QT3355 2025. 7. 3.
반응형

비타민 D는 칼슘 흡수를 돕고 뼈 건강을 유지하며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필수 영양소입니다. 하지만 과일과 채소에는 비타민 D가 거의 없으며, 주로 동물성 식품, 강화 식품, 버섯류에서 발견됩니다. 아래에서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과 섭취 팁을 소개합니다.


1. 비타민 D가 들어 있는 음식

1) 지방이 많은 생선

  • 지방이 많은 생선은 비타민 D의 훌륭한 공급원입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생선과 100g당 비타민 D 함량입니다.
  • 연어: 약 11~16μg (440~640 IU). 특히 야생 연어는 양식 연어보다 비타민 D 함량이 높습니다.
  • 정어리: 약 4.8μg (192 IU). 통조림 정어리도 좋은 선택입니다.
  • 고등어: 약 11.9μg (476 IU). 구이 또는 찜으로 섭취하면 영양소가 잘 보존됩니다.
  • 정맥: 약 14μg (560 IU). 생선 간유도 비타민 D가 풍부합니다.

2) 강화 식품

  • 비타민 D가 강화된 식품은 채식주의자나 비타민 D 섭취가 부족한 사람들에게 유용합니다.
  • 강화 우유: 100ml당 약 1~2μg (40~80 IU). 일반 우유, 두유, 아몬드 밀크 등에 강화된 제품이 많습니다.
  • 강화 오렌지 주스: 100ml당 약 1μg (40 IU). 과일 주스 중 비타민 D가 강화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 강화 시리얼: 제품에 따라 100g당 2~8μg (80~320 IU). 아침 식사로 간편하게 섭취 가능합니다.
  • 강화 요구르트: 100g당 약 1~2μg (40~80 IU). 유제품을 선호하는 경우 좋은 선택입니다.

3) 버섯

  • 버섯은 드물게 비타민 D를 함유한 식물성 식품입니다. 특히 햇빛이나 자외선(UV)에 노출된 버섯은 비타민 D2(에르고칼시페롤)를 생성합니다.
  • 표고버섯: 햇볕에 말린 표고버섯 100g당 약 3~4μg (120~160 IU).
  • 송이버섯: UV 처리된 송이버섯은 100g당 최대 28μg (1120 IU)까지 함유할 수 있습니다.
  • 느타리버섯: 자외선 처리 시 비타민 D 함량이 증가합니다.

4) 기타 동물성 식품

  • 달걀 노른자: 1개당 약 1μg (40 IU). 비타민 D 함량은 닭의 사료에 따라 달라집니다.
  • : 소간 100g당 약 1.2μg (48 IU). 비타민 D뿐만 아니라 철분도 풍부합니다.
  • 치즈: 특히 스위스 치즈는 100g당 약 0.4μg (16 IU) 포함.

이미지 출처: qt3355.tistory.com

 

2. 과일과 채소에서 비타민 D 찾기

  • 자연 상태의 과일과 채소는 비타민 D를 거의 함유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강화된 오렌지 주스나 자외선 처리된 버섯은 예외입니다.
  • 과일을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하려면 강화 식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비타민 D 섭취 팁

  • 햇빛 노출: 비타민 D는 피부에서 햇빛(UVB)을 통해 합성됩니다. 하루 15~30분 햇빛에 노출되면 필요량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 보충제: 음식만으로 충분한 비타민 D를 섭취하기 어려운 경우, 비타민 D3(콜레칼시페롤) 보충제를 고려하세요. 권장 섭취량은 성인 기준 15~20μg (600~800 IU)입니다.
  • 조리법: 생선을 구이, 찜, 오븐 요리로 조리하면 비타민 D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라벨 확인: 강화 식품을 구매할 때는 영양 성분표를 확인해 비타민 D 함량을 체크하세요.

 

4. 비타민 D 부족 위험

  • 비타민 D 부족은 골다공증, 근육 약화,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겨울철, 고위도 지역, 실내 생활이 많은 사람은 부족 위험이 높습니다.
  • 다음 그룹은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노인, 피부색이 어두운 사람, 채식주의자, 햇빛 노출이 적은 사람

 

비타민 D는 주로 지방이 많은 생선, 강화 식품, 버섯에서 얻을 수 있으며, 과일과 채소로는 강화된 오렌지 주스를 제외하고는 섭취가 어렵습니다. 균형 잡힌 식단과 적절한 햇빛 노출을 통해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세요. 부족이 의심되면 의사와 상담하여 보충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